[애드쇼파르] 미얀마 봉제산업에서는 미국의 수입관세 인상에 따라 일부 공장이 문을 닫는 동시에 신규 공장도 지속적으로 개업하고 있는 상황이 확인되었다.
미얀마 봉제산업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미얀마 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함으로써 일부 공장 근로자들 사이에 실직과 공장 폐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미국 수출을 전제로 한 미얀마 봉제 생산은 원래 규모가 크지 않았고, 관세 인상으로 인한 폐업은 일부 공장(2~3곳)에 국한된다고 밝혔다.
생산 주문이 줄어 임시 휴업이나 직원 감축 등은 드물게 있지만, 전체 산업에 심각한 타격은 아니며 오히려 뛰어난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가진 공장들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최근에는 신규 공장이 10곳 이상 추가로 개설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신규 진출 기회가 제한되고,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등 업계 전반적으로 크고 작은 애로사항들은 겪는 중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공장 현장의 일부에서는 특별한 사유 없이 퇴직금을 지급하며 직원 해고가 진행되고 있으며, 곧 폐업에 들어갈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아 고용 불안이 확대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곤 Shwepyitha 타운십과 Hlaingtharyar 타운십 등 봉제산업이 밀집한 공단 지역에서는 초과근무가 감소하고, 일부 공장에서는 인력 감축이 이뤄지고 있어 근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양곤 Hlaingtharyar 타운십의 한 노동자는 현재 근무 중인 공장에서는 더 이상 초과근무가 없으며, 일부 동료들은 초과근무 축소로 인해 다른 공장으로 옮기기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만약 주문이 전혀 들어오지 않을 경우, 공장 폐업에 대한 불안도 있다고 덧붙였다.
미얀마 봉제산업은 최근 몇 년간 투자와 고용 확대, 수출 증가 등 성장세를 보여왔으나, 미국 관세정책과 세계적 경기 불안에 따라 지속적인 사업 환경의 변화와 숙련공들의 대규모 해외 유출 등의 근로자 고용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실질적인 지원 정책과 대체 시장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