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쇼파르] 2025년 5월 7일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는 이번 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3월 28일 대지진으로 인해 약 350만 명의 노동자가 지진 피해 지역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ILO는 이로 인해 하루에 약 3,680만 달러에 달하는 임금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추산하였다.

ILO는 긴급한 인도적 현금 지원이 지진 피해를 입은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보고서는 이러한 지원이 노동자의 생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지역 경제 회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고용 위기는 미얀마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ILO는 향후 노동 시장 회복을 위한 즉각적이고 지속 가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50509 ILO Brief Employment implications of the earthquake in Myanmar

1. 지진의 전반적 영향 개요  

이번 지진은 Mandalay, Sagaing 및 Bago 지역을 중심으로 전체 GDP의 약 14%에 달하는 경제적 피해를 야기했으며, 약 3,600명의 사망자와 5,0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보고되었다. 

특히, 노동 시장에 미친 여파는 심각하며, 주요 생산시설과 인프라의 파괴로 인해 수백만 명의 노동자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

2. 노동 시장 영향 및 긴급 지원 필요성  

ILO 보고서에 따르면, 350만 명의 노동자가 지진으로 인해 고용과 소득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으며, 이는 연간 약 96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에 해당한다. 

특히, 기본적인 사회 보호 시스템이 미비한 미얀마에서는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지원을 받지 못한 채 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많은 이들이 생존을 위해 불안정한 비공식 경제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ILO는 인도적 긴급 현금 지원을 제공하여 지진 피해를 입은 노동자와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지역 경제 회복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지원은 단기적인 생계 안정뿐만 아니라, 지진 이후의 재건 과정에서 고용 촉진 프로그램과 결합될 것을 권장했다. 

예를 들어, 폐허 제거와 같은 복구 작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득을 보전하면서도 지역 사회의 재건을 가속화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3. 농업 부문 및 지역 경제의 구조적 피해  

농업 부문은 미얀마 경제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지진으로 주요 농작물인 쌀, 콩, 참깨, 땅콩 등의 생산이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 손실을 넘어, 도시 및 농촌 지역 모두에서 식량 안보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4. 향후 조치 및 지속 가능한 회복 방안  

ILO는 지진 피해로 인해 붕괴된 경제와 노동 시장을 재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중장기 전략을 제안했다:  

1. 긴급 현금 지원 확대: 직접적인 생계 지원을 통해 피해 노동자와 그 가족을 보호.  

2. 고용 촉진 프로그램: 복구 활동과 연계된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를 재건.  

3. 사회 보호 시스템 구축: 미얀마가 지속 가능한 회복을 위해 충격에 강한 사회 보호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지원.  

4. 아동 및 강제 노동 방지: 재건 과정에서 국제 노동 기준을 준수하며, 노동 착취를 방지할 수 있는 강력한 정책 시행.  

5. 추가 데이터와 분석의 필요성  

ILO는 이번 분석에서 2020년 노동력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진 피해 지역의 고용 및 인구 분포를 추정하고, 피해 지역의 야간 조명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제 활동의 중단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는 향후 보다 정확한 피해 규모와 효과적인 재건 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6. 결론  

미얀마 대지진은 단순히 건물과 인프라의 파괴를 넘어, 노동 시장과 경제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재건 과정에서 빈곤 악화를 방지하고, 장기적인 경제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 보호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특특히, 재건 과정에서의 고용 촉진과 노동자 인권 보호가 강조되어야 하며, ILO는 이를 위한 국제 사회의 지원과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VIAAD Shofar
출처ILO
이전기사미얀마 대지진 피해: 직접 피해액 109 달러 넘을 것으로 추정

댓글남기기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