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파일

1999 신성통상 입사

2003 05 신성통상 베트남 주재

2006 신성통상 본사

2008 신성통상 인도네시아 주재

2010 신성통상 미얀마 주재

2013 05 에이스 어패럴 설립

2014-2016 한인회 문화분과장 역임

2016 07 봉제협회 스포츠분과장

2017 07 봉제협회 사무총장

IMG_5206

미얀마로 오게 된 배경

2010년 5월 신성통상 주재원으로 파견을 오면서 미얀마 생활이 시작되었다. 근무를 하면서 미얀마 시장이 개방되고 많은 발전 가능성이 보여 독립을 결심하고 과감하게 봉제 제조 사업에 뛰어들게 되었다. 1999년 입사하여 미주 수출 영업 팀에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수출 영업을 보다 잘하기 위해선 현장 경험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어 2003년 5월에 베트남 주재원에 지원하면서 해외근무를 시작하였다. 3년간 어느정도 생산 현장 업무를 파악한 뒤에 2006년 본사 근무를 하였다. 하지만 2008년 신성통상 인도네시아 법인이 창설하면서 해외 경험자가 필요하여 다시 해외 주재를 하게 되었고 2010년 미얀마로 발령을 받게 되었다. 미얀마에서 근무를 하면서 많은 경험들과 가능성을 보면서 처음으로 독립을 결심하게 되었다.

IMG_5214

공장 설립 시 힘든 점은 없었나?

신성 근무 시절에도 수출 영업 업무 위주라 현장 생산 관리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지식만 있어 공장 설립을 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했다. 회사 설립 당시에도 젊은 혈기 하나만 믿고 시작을 했지만 독립 결정을 할 수 있게 된 가장 큰 요인은 같이 근무를 했던 현지인 매니저들이 같이 일하고 싶다는 제안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 덕분에 현장 세팅에 대한 부담감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오더 부분이나 자금에서도 힘든 점은 있었지만 내가 노력하면 가능한 부분이지만 현장 생산 관리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회사 설립 결정을 위한 마지막 항목으로 보류하고 있었던 부분이었다. 창립 멤버들이 그대로 현재까지 근무를 하고 있다.

 

현장 직원들의 신뢰가 가장 큰 역할이었던 거 같다. 그런 신뢰를 만든 비결을 알고 싶다.

동등한 대우

인력관리에서 있어서 다른 업체들과 특별하게 다른 시스템은 없다. 근로자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은 현지인과 외국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동료라는 것이다. 공장이 East Dagon에 있었을 때 현지인 기숙사 건물 4동을 임대하였다. 임대를 하면서 내부 시설 기본적으로 각방 에어컨 설치, 거실 대형 TV설치, 소파, 냉장고등의 생활용품들을 제공해주었다. 공장 이전 후에도 출퇴근이 힘든 직원들과 매니저 120여명이 기숙사에서 지내고 있으며 식사 3식 제공, 주말 외출 교통비 지급 등을 하고 있다. 큰 복지 혜택은 아니지만 직원들도 감사하며 신뢰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본다.

사장의 업무

실질적으로 돈을 벌어주는 것은 회사의 사장이 아니라 직원들이라고 생각한다. 사장은 주 업무는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좋은 조건의 오더를 받아 생산 라인이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장의 직무를 충실히 하고 직원은 그들의 직무를 충실히 해 나가는 시스템으로 각자의 업무가 있는 것이지 상하 수직 관계 시스템은 없다.

공장 계획

공장 설립시에는 공장 근로자를 1500여명까지 목표를 잡고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어 늘리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최저임금이라는 변수가 있어 공장 확장에 대한 계획은 보류 중이다.

IMG_5203

신임 사무총장으로서 포부가 있다면?

미얀마 한인 봉제 협회 스포츠 분과장으로 활동을 하다가 사무총장까지 맡게 되면서 실감이 나지 않는다. 사무총장이라는 직책이 각 단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부담감도 있지만 미얀마 한인 봉제 협회의 새로운 모습을 보이기 위한 일들을 만들어 나가고 싶다. 새로운 일들을 하기 위해서 먼저 협회사의 관점으로 아쉬웠던 점들을 찾아보기 시작하였다. 그때 아쉬웠던 점들을 다시 한번 점검 해보면서 개선해 나가는게 우선 순위가 아닐까 생각한다.

대외 기관 협력 관계 개선

미얀마에서 봉제 산업관련 이슈에 대해서 가장 빠른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기관이 미얀마 봉제 협회(MGMA)라고 생각을 한다. 앞으로 이 단체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여 정보 공유가 될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 미얀마 한인 봉제 협회 회장단과의 상견례도 가능한 빨리 진행을 해볼 계획이다.

정보공유

중소 봉제 공장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얀마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정보 파악을 못해서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고 손해 보는 업체들도 생기고 있다. 이런 부분은 정보 공유만 잘되어도 많은 부분이 해결이 되기 때문에 정보공유를 강화하고 싶다. 미얀마 봉제 협회(MGMA)의 행사가 있을 때마다 여러 회원사에 참석요청을 하지만 실제로 참석을 하기 힘든 이유가 미얀마어로만 행사를 진행을 하여 실질적으로 어떤 정보를 공유하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다 보니 현지인 매니저 위주로만 참석을 시키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회장단에서 행사에 참석을 하여 그에 대한 내용을 한국어로 요점 정리하여 회원사간에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IMG_5230

미얀마의 현황과 전망은 어떻게 보는가?

주변 국가와의 경쟁력

직장 생활을 하면서 경험했던 나라별 근로자의 특성이 보였다. 우선 베트남 근로자의 경우 행동이 빠르고 생산성이 좋지만 정말 거칠다. 사무직들도 그대로 매니저한테 대든다. 이런 부분이 근로자 관리가 힘든 부분이 있다. 인도네시아 근로자들은 유순하다. 미얀마 근로자는 유순하면서도 인간적인 정이 있다. 이런 면에서 미얀마에서 노동 집약적 산업은 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런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신뢰 관계만 형성이 된다면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현재 공장으로 이전을 하면서 600여명의 근로자들이 출퇴근이 힘들어졌다. 그래서 근처 공장에서 비슷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같은 조건으로 이직을 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하였다. 하지만 6여명을 제외한 전 근로자가 이직을 하지 않고 근무를 하였다. 생산성 향상은 결국 교육을 통해 올라가게 되어 있지만 이런 미얀마 인들의 특성들은 주변국가와의 경쟁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생산성

절대 기준으로 볼 때 미얀마 근로자가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지만 공임이나 비교를 해보면 크게 떨어진다고는 보지 않는다. 부분 공정을 세부적으로 봤을 때 기술적인 부분에서 조금 떨어진다고 볼 수도 있지만 생산 관리 관점에서 공정별 배치, 제품별 배치, 고정형 배치 등으로 많은 부분이 해결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단순히 설비 배치(Lay Out)이나 공정별 흐름 이동시 시간만 단축을 해도 더 효율이 높아질 것이다.

최저임금

연10%정도 인상을 생각한다고 해도 2년마다 한번씩 협상이 되어 20%가 인상이 되는데 이 금액도 현재 상황에서는 벅찬 임금이다. 그런데 노조에서는 최저임금을 5,600짯/일으로 인상 요구를 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최저임금 3,600짯/일에서 55%가량이 인상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대로라면 9월에 새로운 최저임금액이 공표가 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협의 중이라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노사분규

다행히도 설립이후 노사분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어느 공장이나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노사분규로 이어질 위험성은 있다. 흘라잉따야 공단이 노사분규가 많이 발생하여 악명이 높지만 대체적으로 노사분규가 발생하는 공장에서 계속 생긴다. 이런 부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뢰와 대화가 가장 중요하다. 본인도 노사분규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 문제가 있는 직원이 있으면 매니저에게 상황 보고를 들은 후 일대일로 면담을 하고 이야기를 듣는다. 사장이 바로 해결해줄 수 있는 사안이면 해결을 해주고 힘든 경우에는 해결점을 찾도록 노력한다.

IMG_5223

중소 봉제 업체의 방향?

에이스 어패럴은 현재 셔츠 제품만 생산을 하고 있다. 셔츠라는 아이템이 우븐, 자켓에 비해서는 오더 기복이 덜하기 때문에 중소 봉제 업체에게는 적합한 아이템이라고 본다. 하지만 95%가 유럽 오더로 진행을 하고 있다. 이런 유럽 오더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하청을 받는 공장도 오딧 통과를 해야 한다. 주로 유럽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BSCI 오딧을 주로 받는다. 오딧 통과가 되면 2년의 유효기간이 있어 소셜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걱정없이 유럽 제품 생산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소셜 컴플라이언스를 처음 진행하는 업체는 BSCI 기준에 맞춘 공장 개선을 한 후에 물량을 늘려 나가면 좋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NGO단체들이 노동 인권 강화를 명분으로 노동집약 산업인 봉제 산업을 집중적으로 평판할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이 발생시 객관적인 인증서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쉽게 대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미 2015년 1월 미얀마 봉제 협회(MGMA)에서도 소셜 컴플라이언스 국제 기준을 미얀마 업체들에게 맞춰 행동강령(Code of Conduct)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것을 활용하여 직원 교육과 공장 개선에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시설 투자나 공장 시스템 개선이 말처럼 쉽지는 않지만 중,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준비를 했으면 한다.

이전기사일본 유명 라면 브랜드, 에이스쿡 미얀마 공장 가동
다음기사[인터뷰] Innovative Visions 대표 Pyae Sone oo & Soe Eain Thu

댓글남기기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