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쇼파르] 2025년 3월 25일, 뜨거운 여름철이 시작되면서 미얀마 라카인주와 타닌따리(Tanintharyi) 지역에서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라카인주에서는 현재 Ponnagyun, Rathedaung, Pauktaw, Minbya, Maungdaw 타운십 등 6개 타운십이 심각한 물 부족 상황을 겪고 있다고 지역 언론사 Narinjara가 보도하였다. 

라카인 지역의 물 부족은 보통 3월에서 5월 사이의 더운 계절 동안 정기적으로 발생하지만, 올해는 특히 도시 주민들이 군부의 공습과 포격을 피해 농촌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함에 따라 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라카인주 Kyauktaw 타운십의 한 주민은 마을 연못들이 오랫동안 준설되지 않아 침전물과 진흙이 쌓이며 식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고 밝혔다. 

Ponnagyun의 한 마을 주민은 “현재 연못의 물이 너무 탁해 사용할 수 없으며, 다음 달이면 물이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라고 전했다. 

일부 마을에서는 작년 11월부터 이미 물 부족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타닌타리 지역의 Tanintharyi 타운십에서도 유사한 물 부족 현상이 보고되었다. 

Karen Information Center(KIC)에 따르면, 중순부터 해당 타운십 내 언덕과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약 60,000명의 국내 실향민(IDP)이 극심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실향민들은 주로 계곡의 물줄기와 천공된 우물에 의존해왔지만, 올해 이례적으로 높은 기온으로 인해 물 공급이 급감하였다. 

한 구호 활동가는 “올여름 더위는 견디기 어려울 정도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물줄기가 완전히 말라버렸다”고 전하였다.

라카인주와 타닌따리 지역의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은 이미 열악한 공공 인프라와 지속적인 보안 위기로 인해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주민들과 실향민들에게 추가적인 고통을 안기고 있다. 

특히, 이 지역들은 군부와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인도적 지원이 제한되어 있어 다양한 물 관련 위기에 더욱 취약한 상태이다. 

지속적인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물 공급 인프라를 복구 및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VIAAD Shofar
출처Narinjara
이전기사골치덩어리 TNLA, 이번에는 Shan State Progress Party와 분쟁
다음기사만달레이, 징병복권 추첨제 개시

댓글남기기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