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오션

[애드쇼파르] 2025년 10월 16일, 라카인주 Munaung 타운십에서 군부가 국영 통신사 Myanma Posts and Telecommunications(이하 MPT) 전화선을 복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12월 28일에 시행할 예정인 선거 준비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조치로 확인되었다. 

통신선은 연결됐으나 현재 모바일 인터넷은 여전히 차단된 상태이며, 해당 지역에서는 MPT SIM 카드만 사용 가능하다고 거주민들이 전했다.

군부는 2023년 11월 Arakan Army와의 전투 재개 이후 라카인주 전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였다. 

이후 Munaung, Sittwe, Kyaukphyu 타운십 등 3개 지역만 군부의 통제 하에 남았으며, 이번 선거도 이들 지역에서만 진행될 계획이다. 

지난달 라카인 주지사 Htein Lin이 Munaung 타운십을 방문하여 통신 제한을 해결하겠다고 주민들에게 약속하였다.

Rakhine Nationalities Party는 8월에 군부에 Munaung 타운십의 인터넷과 전화 연결 복원을 촉구한 바 있다. 

해당 당은 선거에 지역당으로서 출마하며, Narinjara의 보도에 따르면 Munaung의 Kone Tan과 Ka-i Kone Khin 마을에서 선거 운동을 전개하고 지부를 개설하였다.

MPT 통신선 복구 이후 MPT SIM 카드의 현지 가격이 60,000~80,000 짯까지 6배 이상 급등하였다. 

이는 미얀마 타 지역 대비 크게 높은 수준이며, 이마저도 일부 군부 연계자만 지역 행정청에서 인터넷 이용이 허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저항세력인 Arakan Army가 Magway Region Ngape 타운십의 Nat Yay Kan Tactical Command Post를 포위하였으며, 해당 포스트는 Rakhine의 Ann에서 Magway의 Padan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와 인접해 있다. 

Arakan Army는 군부의 주요 보급로를 차단하여, 최근 군부가 공수작전까지 동원하여 보급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해당 전략 요새가 함락되면, 군부의 Ann 탈환 계획은 실현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Arakan Army는 Bangladesh Border Guard가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와 Rohingya Solidarity Organization을 지원한다고 주장하였다. 

2025년 10월 11일에는 Maungdaw 타운십에서 이슬람 무장세력 10명이 모터사이클 운전자 3명을 공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도 발생하였다. 

AA 측은 ARSA와 RSO에서 압수된 무기와 장비가 BGB 일부 군관의 지원 흔적이라고 지적하고, 이러한 지원이 국경안정과 양국 관계, 상호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Munaung 타운십을 비롯한 라카인주의 통신 서비스 제한은 지역 주민의 정보접근권을 저해하고, 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군부는 인터넷 서비스의 단계적 복원을 검토 중이나, 실제 실현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수랏간하나엔지니어링
이전기사미얀마 주민등록증 불법 거래 급증, 온라인 사기 조직에 활용되는 충격 실태 드러나
다음기사미얀마, 최저임금 인상…8시간 근무 시 일당 7,800짯 지급해야… 초과근무 수당 기준인 기본급여는 그대로

댓글남기기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