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미얀마 EV 시장, 2년 만에 성장세 둔화…군부 정책·SKD 생산 한계 등 업계...

미얀마 EV 시장, 2년 만에 성장세 둔화…군부 정책·SKD 생산 한계 등 업계 우려 급증

0

[애드쇼파르] 2025년 8월 현재, 미얀마 군부가 주도한 전기차(EV) 시장 활성화 정책이 도입 2년 만에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고 업계가 밝히고 있다. 

2023년에 시작된 미얀마 EV 차량 정책은 내연기관 차량 사용 감축, 탄소 배출 절감, 도시 환경 개선, 소음 감소 등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시행 2년 차에 접어든 현재 각종 문제점과 재검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EV 정책의 도입 초기에 미얀마 정부는 30,000대 이상 차량 수입을 기대했으나, 현재 실제 차량 등록 수는 10,000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 시장 상황에 대해 “시장 붕괴까지는 아니지만, 침체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이대로 지속될 경우 2년 내 EV 시장 붕괴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시장 내 EV 차량 수입은 주로 중국산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실제 완성차(SKD 방식) 현지판매를 시도하는 업체는 일부에 불과하다. 

50여 개 EV 수입업체 중 10개 미만 업체만이 정부 정책 기준에 맞춰 시스템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마저도 점차 사업 지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최근 EV 완성차의 재고가 쌓여 판매가 지연되고 있으며, 일부 SKD 방식 생산업체는 “초기부터 EV 차량 전망을 신뢰하지 못해 내연기관(SKD) 차량만 제공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하였다. 

내연기관(SKD) 차량과 EV 차량이 동시에 판매 허가를 받으면서, 소비자들은 신차 선택에서 최종적으로 내연기관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EV 사업자들은 ▲ 내연기관 차량과의 경쟁 허용 ▲ 내연기관과 EV의 관세 차이 미미 ▲ After-sale 서비스 미흡 ▲ 수입 차량 품질관리 미흡 ▲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도입 검토 등으로 시장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 맞춰, 현대에서는 신규 모델 CUSTIN을 출시하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V 차량 가격은 현재 30% 이상 하락했으며, 일부 업체에서는 할부 판매와 적극적인 광고에 나서고 있으나 판매량은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다. 

업계에서는 “가격 하락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판매가 이어지지 않는다면 결국 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의 정책 목표는 내연기관 소비 감소와 환경 개선에 두었으나, 실제 차량 등록 대수나 기술 회수, 현지 생산 확대 등 실질적인 성과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현행 두 해 동안 시장 규모가 초기 전망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해당 정책의 근본적 재검토와 관련부처의 적극적 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수랏간

댓글없음

댓글남기기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You cannot copy content

Exit mobile version